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자전달계2

세포호흡(4) - 산화적 인산화와 전자전달계 앞서 해당과정과 피루브산 산화, TCA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생성된 물질을 정리해보자.해당과정 : 2ATP 소모, 4ATP 생성, 2NADH 생성, 2 피루브산 생성피루브산 산화 및 TCA 회로(포도당 1분자 기준) : 6CO₂ , 8NADH, 2FADH₂ , 2ATP 생성----------------------------------------------------------------------------------------------------------------------------총 4ATP, 10NADH, 2FADH₂, 6CO₂가 생성되었다.우리는 계속해서 산소 호흡 후, 32ATP를 획득해야함을 잊지 말자.포도당의 분해는 끝났지만, 우리에게는 4ATP 밖에 없다.남은 28ATP를 얻기 위해.. 2025. 2. 14.
세포호흡(3) - 피루브산 산화와 TCA 회로 해당과정까지 총정리하면,세포 내로 흡수된 포도당(친수성이니 촉진확산으로 들어오겠죠?)이 2분자의 피루브산으로 쪼개짐.이 때, 에너지 투자기와 회수기로 나뉘며 에너지 투자기 때 2ATP 투자.에너지 회수기 때 총 4ATP와 2NADH 회수.최종적으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산소의 유무에 따라 발효를 진행할지, 산소 호흡을 진행할지 결정됨.오늘 정리할 파트는 "산소가 있을 때" 피루브산의 운명이라고 하면 되겠습니다.여기서부터는 탄소화합물의 탄소 개수가 중요해지니까 이름과 탄소수까지 이해(암기?)를 해야합니다.산소가 있을 때피루브산 산화산소가 있기 때문에 피루브산을 산화시킬 수 있는데,해당과정 결과 생성된 피루브산은 산소가 있을 때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이동합니다.이 때, 피루브산(3C)은 아세틸-CoA(.. 2025. 2. 13.
반응형